반응형
두렵지 않은 팀, 이야기하게 만드는 리더의 말투
- 팀원이 솔직해지고 싶은 그 순간
- 피드백과 감정의 선을 지키는 방법
- 질문을 통해 신뢰를 쌓는 법
- 실전 회의 대화 플로우 예시
1. 왜 '심리적 안정감'이 중요한가?
심리적 안정감(Psychological Safety)은 팀원이 실수하거나 의견을 말할 때 불이익을 두려워하지 않는 환경을 말합니다. 이는 구글의 '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'를 통해 효과적으로 팀 성과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확인되었어요. 안정감을 기반으로 한 팀은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됩니다.
2. 리더의 말투가 분위기를 만든다
— 부정적 언어 대신 ‘가능성 중심’ 표현 사용
— 질문형 접근: “이 부분은 어떻게 생각해?” vs “이렇게 해야 해”의 차이
— 존중의 인정: “지난번 의견 잘 전달해 주셨네요” 같은 구체적 언급
3. 효과적인 피드백의 실전 구조
- 상황‑행동‑영향 포맷: “지난 회의에서 (상황)… 했을 때 (행동)…했고, 그래서 (영향)…를 느꼈어요.”
- 질문 포함 피드백: “이렇게 하면 어땠을 것 같아?”로 팀원의 참여 유도
- 피드백의 타이밍: 즉시성 vs 사전 알림, 한 번에 전달 방식
4. 회의에서 대화 흐름 만들기 – 템플릿 예시
다음은 실전 회의에서 '심리 안전감을 만드는 질문 흐름 예시'입니다:
① 아이스브레이커: “오늘 가장 걱정되는 부분은?”
② 개방 질문: “이 프로젝트에 어떤 의견 있으세요?”
③ 조용한 참여 유도: 손 들기 or 짧은 코멘트 요청
④ 피드백 요약 후 인정: “좋은 지적이었어요, 다음 단계에 반영할게요”
자주 묻는 질문
- Q. 심리적 안전감은 어떻게 측정하나요?
A. 익명 설문, 정기 1:1 인터뷰, 팀 리플렉션 세션으로 정성‑정량 평가가 가능합니다. - Q. 팀원이 여전히 말을 주저할 때는요?
A. 개별 면담으로 “요즘 어떤 생각이 드나요?”처럼 1:1 질문을 통한 교감부터 시작하세요. - Q. 실수가 반복될 때 안전감 유지는 어떻게 하나요?
A. 실수 자체가 아닌 개선의 여지를 강조하며, 피드백 과정에서 응원의 메시지를 포함하세요.
이제 당신이 실천할 차례입니다
오늘 회의부터라도
- “의문 있으면 언제든 말해 주세요”라는 말 한마디
- 팀원의 의견을 묻는 한 가지 질문
- 피드백할 때 상황‑행동‑영향 구조 사용
✅ 핵심 요약: 대화는 기술입니다. 익히고 나면, 조직 생활이 바뀝니다.
반응형
'자료실 > 소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성과를 끌어내는 피드백 기술 (0) | 2025.08.06 |
---|---|
갈등을 기회로 바꾸는 소통 전략 (0) | 2025.08.06 |
덥고 습한 여름, 말 한마디가 갈등의 불씨가 됩니다 (0) | 2025.08.04 |
450만명에게 영화 할인! 정부가 쏘는 입장권 혜택 정리 (0) | 2025.07.24 |
직장병법| 업무 지시가 막막할 때, 이렇게 질문하세요 (0) | 2025.07.23 |